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중학생 중간고사 공부법, 과목별 전략이 필요해요!

by 진짜헤헤 2025. 4. 12.


중간고사 앞두고 어떻게 공부해야 할지 막막한 친구들
분명히 있을것이다.
특히 중학생 때는 과목 수가 많고,
시험 범위도 넓다 보니
하나하나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하는데

이번 글에서는 과목별로 어떻게 공부하면 좋은지
실전 전략을 알아보자.





국어: 문제집보다 교과서 분석이 먼저!
• 서술형 대비는 교과서 본문 정리 + 작품 내용 파악
• 문제 출제 유형 반복되는 학교 많으니까 기출 꼭 분석해요
• 문법 단원 있을 경우 개념 + 적용 문제 같이 반복!

요즘은 교과서 보다는 프린트 위주로 수업을 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교과서를 소홀이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학교 선생님이 나눠주는 그 프린트
그 내용은 어디서 오는 걸까
그건 바로 교과서

카테고리 소제목을 나눠서 프린트를 만들게 되어 있다.
거기서 더하거나 덜 하는 내용이 있을 뿐.

나는 거의 대부분의 과목을 무조건 교과서부터
보라고 권한다.
시험 범위의 처음과 끝은 교과서로 해야 한다는 주의다.


수학: 개념 → 유형 → 오답 정리 루틴 필수
• 중등 수학은 개념만 이해해도 70점은 나와요
• 자주 나오는 유형은 손으로 푸는 연습이 가장 중요
• 틀린 문제는 ‘왜 틀렸는지’ 분석 후 오답노트 필수

학군지별로 분명한 차이는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교과서에 나오는 개념과 필수 예제와 같은 것들은
무조건 술술 풀 수 있도록 준비 하자.
그리고 나서 문제집을 풀고
본인의 실력에 맞는 문제집을 선택해서
오답 위주로 반복 하면 좋겠다.

이른바 학군지에서의 아주 어려운 문제들을 다루는 것은
따로 다루어봐얄듯.


영어: 단어 + 문장 패턴 익히기
• 시험 범위 내 교과서 문장 외우기 → 독해력 상승
• 서술형 대비 위해 문장 만들기, 문장 변형 연습
• 단어장은 매일 15~20개씩 쪼개서 암기!




사회/과학: 암기 과목은 구조화가 핵심!
• 교과서 목차를 마인드맵이나 표로 정리
• 용어나 개념은 무작정 외우기보다 비교하면서 암기
• 실험, 인물, 사건 → 연계 출제 자주 되니 흐름 파악!

과학의 경우 교과서에서 진행하는 모든 실험 과정은
이해하고 있어야 하고
그 실험에대해 낼만한 예비 문제들을 스스로 내 보고 답 하는
형식으로 공부 하는 것이 효과적

사회나 역사는 교과서를 소리내 여러번 전체적으로
반복해 읽는것이 구조화에 도움이 된다😊


다음 글에서는 시간표 짜는 법 + 실제 실천 루틴 정리해볼까?
중간고사, 전략적으로 이기자!


이제 공부해 진짜!